산중턱으로 보이는 청량사의 풍경
거대하고, 빽빽한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진 열두 봉우리가 눈길을 잡는다.
그 연화봉 기슭 한 가운데 연꽃처럼 둘러쳐진 꽃술 자리에 자리 잡은 청량사는 신라 문무왕 3년(663)에 원효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지며 송광사 16국사의 끝 스님인 법장 고봉선사(1351-1426)에 의해 중창된 천년 고찰이다.
창건당시 승당등 33개의 부속 건물을 갖추었던 대사찰로 봉우리마다 자리잡은 암자 에서는 스님들의 독경소리가 청량산을 가득메웠다고 한다. 또한 자연경관이 수려한 청량산에는 한때는 신라의 고찰인 연대사(蓮臺寺)와 망선암 (望仙菴)등 대소 27개소의 암 자가 있어서 당시 신라 불교의 요람을 형성하기도 하였다.하지만 조선시대 불교를 억압하는 주자학자들에 의해 절은피폐하게 되어 현재는 청량사와 부속건물인 응진전만이 남아있다.청량사의 법당인 유리보전은 창건연대가 오래되고 짜임새 있는 건축물로 인하여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7호로 지정되었다.
청량산의 최고봉인 의상봉은 화엄종의 시조인 의상대사께서 입산수도 한곳이라 의상봉이라 불리며, 이곳을 비롯해 보살봉, 연화봉, 축융봉 등 12개의 암봉이 있고 어풍대, 밀성대, 풍혈대, 학소대,금강대 등 12개의 대와 8개의 굴과 4개의 약수터가 있다.
청량사에는 불교의 우수한 유적 건물이 많았으나 어느 때인가 소실 등으로 인하여 거의 없어지고 현재 신라시대 대찰의 모습은 없지만 망월암 등 33개 암자가 있었던 유지가 있고,문수보살, 지장보살,16나한등이 봉안되어 중생의 근기에 맞는 기도처로서 손색없는 도량의 모습을 띄고 있다.
청량사로 가기 바로 직전에 있는 산꾼의 집
[
청량사 범종각은 2층 누각으로 1998년 완공하여 1500만 범종과 법고, 운판, 목어등 사물이 모셔져있다.
청량사의 법당인 유리보전(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7호)
현판은 공민왕의 친필로 약사여래불이 모셔져 있다.
이곳에 모셔진 약사여래불은 특이하게도 종이를 녹여 만든 귀중한 지불이다.
이 불상은 협시불인 문수, 지장보살과는 달리 단 한번도 자리를 옮기지 않았다고 하는데 지금은 개금불사를 다시하여 잘 보존하고 있다.
원효대사 청량사 창건시 말 안듣는 뿔이 셋달린 소를 시주 받아 절 창건시 재목 운반등 청량사 준공 하루 남기고 생을 다하여 묻은 자리에 가지가 셋달린 소나무가 자라 이를 삼각우송이라하고 소를 묻은 자리를 삼각우총이라한다
김생 폭포
‘바람이 소리를 만나면’이라 일컬으지는 안심당
안심당은 사찰내의 전통 다원(茶園)으로 청량사와 청량산을 오가는 사람들의 발걸음을 잠시 멈추게 하여 숨을 돌리고 삶의 여유를 갖게 하는 넉넉한 공간이다.
청량산은 공민왕과 노국 공주의 애환이 깃든 산이라고 한다.
공민왕과 노국 공주는 고려 왕가에서 가장 아름다운 러브스토리의 주인공으로 원나라 왕족이었던 노국 공주는 공민왕과 결혼한 뒤 스스로 고려인을 자처하며
원나라의 영향에서 벗어나려는 공민왕의 자주 정책을 도왔다.
하지만 결혼 8년이 되도록 아이를 갖지 못하자 중신들의 간청으로 공민왕은 이제현의 딸을 후궁으로 삼았다.
이곳 청량사에 왔을 때가 결혼 생활 11년 즈음으로 노국 공주는 유리보전에서 20분 정도 떨어진 응진전에서 16나한을 모시고 기도를 했다.
홍건적을 무찔러 달라는 것과 함께 아마도 아이를 갖게 해 달라는 간절한 소원을 빌지 않았을까 여겨진다.
개경으로 환도한 뒤 공주는 16년 만에 임신을 했지만 1365년 겨울 난산 끝에 숨지고 말았다.
공주가 죽은 이후 공민왕은 가슴에서 공주의 그림자를 지울 수 없었던 모양이다.
그래서 귀족과 시녀들의 음란한 행위를 보는 관음증이나 동성애에 빠지기도 했던 모양이다.
공민왕과 노국 공주의 묘역은 현재 개성시 증서면에 있다.
공민왕은 이곳 청량산으로 피난 오면서 숱한 전설을 남겼다.
1361년 10월 홍건적이 침입하자 공민왕은 노국 공주를 데리고 이곳 청량산에 이르렀다.
공민왕이 청량산으로 들어갈 때 지금의 봉화군 명호면 북곡리와 관창리를 연결하는
나분들(廣石) 개울을 건너게 되었는데 이때 공민왕은 말을 타고 건너고 노국 공주와 시녀들은 인근 부녀자들의 등을 딛고 건넜는데
이것이 지금까지 전해져 오고 있는 <놋다리밟기>의 시초이다.
이 놋다리밟기를 <기와밟기>라 하기도 하는데 앞으로 복원해야 할 유산이다.
공민왕은 이곳 청량산에 3개월여 동안 있으면서 <유리보전>의 현판을 썼으며 산성을 쌓는 등 홍건적의 침입을 대비하기도 했다.
이곳에는 공민왕이 죄인들을 사형시킨 밀성대 등 많은 흔적들이 남아 있다.
또한 지역 사람들이 공민왕 사당을 만들어 매년 정월과 칠월 보름(백중)에 동제를 지내고 있다.
공민왕당의 공민왕 영정은 도난 당하고 위패만 남아 있다.
청량산 자란봉과 선학봉 사이를 잇는 하늘다리
청량산 하늘다리는 해발 800m 지점에 위치한 다리로 길이 90m로 국내에서 가장 긴 산악현수교량이다.
'사찰 순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화암사 - 흥선스님 <가야산과 덕유산>중에서 (0) | 2009.09.18 |
---|---|
봉화 서동리삼층석탑 (0) | 2009.07.17 |
예천 개심사 오층석탑 (0) | 2009.07.17 |
[동영상] 흥선스님과 미륵사지에서 (0) | 2009.07.10 |
흥선스님과 같이한 미륵사지 (0) | 2009.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