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dcinside.com/canon/EOS20D/tech.jpg)
1. 메뉴
20D의 메뉴는 탭으로 나뉘어 있지 않고 한 화면에서 모두 스크롤하여 탐색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습니다. 자칫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퀵 콘트롤 다이얼을 이용하면 매우 빠른 속도로 스크롤할 수 있어 원하는 메뉴를 신속히 찾을 수 있습니다. 또한, 각 섹션에 따라 색깔
구분을 달리 했으며 JUMP버튼을 누르면 각 섹션으로 한 번에 이동가능하여 퀵 콘트롤 다이얼에 익숙하지 않은 신규 유저들을 배려했습니다.
메뉴 화면 오른쪽에는 스크롤 바가 표시되어 현재 탐색하고 있는 위치를 알려줍니다.
화면 해상도와 압축률은 각각 세가지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각의 모드는 모두 RAW화질과 함께 저장 가능합니다. 물론, RAW
파일만으로도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어 선택의 폭이 이전보다 더욱 넓어졌습니다.
20D의 놀라운 메뉴 중 하나는 바로 화이트 밸런스입니다. 오토 화이트 밸런스가 매우 정확할 뿐만 아니라, 좌표화된 색공간에서
미세한 색온도를 조절하거나 직접 색온도 수치를 조절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흰색을 정확히 표현 하도록 도와줍니다.
색공간 영역에서 다이얼을 조작하면 화이트 밸런스 브래킷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http://www.dcinside.com/canon/EOS20D/s_IMG_5552.JPG)
< 색온도 2,700K> <색온도 5,200k>
![](http://www.dcinside.com/canon/EOS20D/s_IMG_5566.JPG)
<색온도 10,000K> <오토 화이트 밸런스>
20D에는 흑백모드도 탑재되어 있습니다. 유저들이 절실히 요구하던 사항은 아니었지만 콘트라스트와 샤프니스 조정기능, 각종
필터효과와 톤 색감을 직접 조절할 수 있어 흑백이나 듀오 톤 사진이 필효한 경우 카메라에서 편리하게 설정 가능합니다.
![](http://www.dcinside.com/canon/EOS20D/s_IMG_5542.JPG)
<효과 적용 전> <콘트라스트, 샤프니스 각각 +2>
![](http://www.dcinside.com/canon/EOS20D/s_IMG_5548.JPG)
<세피아> <블루 톤>
![](http://www.dcinside.com/canon/EOS20D/s_IMG_5550.JPG)
<퍼플 톤> <그린 톤>
이외에 촬영 모드에서는 파라미터가 세팅되어 있어 사진의 색감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파라미터는 프리셋 2가지와 유저세팅
3가지, 총 5가지가 제공됩니다.
유저 세팅에서는 콘트라스트, 샤프니스, 색조와 칼라 톤을 조절가능합니다.
Info버튼을 누르면 현재 카메라의 설정상태가 망라됩니다. 촬영된 시각에서부터 노출정보, 각종 설정과 카메라 설정상태까지 한
눈에 볼 수 있어 편리합니다.
2. 감도
이전 모델인 10D도 노이즈가 적은 것이 장점인 제품이지만 20D는 그보다 훨씬 더 깨끗해진
화질을 자랑합니다. 이는 이미 EOS 1D Mark II에서 증명된 DIGIC II 프로세서의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감도별 발생하는 노이즈를
확인한 결과 ISO 100 ~ 800은 물론 ISO 1600에서의 노이즈도 크게 거부감이 느껴지지 않는 수준입니다.
3. 측광
10D와 마찬가지로 20D에도 역시 스팟측광은 채용되지 않았습니다. 20D의 측광모드는 평균측광,
중앙부 중점 측광, 부분 측광, 세가지로 구성됩니다. 스팟측광 대신 채택된 부분 측광은 화면 전체 중 중앙 9% 범위를 기준으로 빛을
측정합니다. 중앙 9% 범위는 뷰 파인더 스크린 중앙의 원형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입니다.
<평균 측광, 원본 리사이즈>
오른쪽 예제는 피사체 뒤쪽에서 조명을 비춰 역광 환경을 만든 상태에서 동일한 노출로 각 측광
모드로 촬영한 사진입니다. 부분 측광에서는 석고상의 얼굴 부위만 측광하여 배경의 노출이 다소 오버되었습니다. 부분측광으로 인한 불편함은 크게
느낄 수 없었으나 간혹 평균측광시 강한 조명 위주로 측광이 되어 노출이 의도대로 되지 않은 경우가 있었습니다.
<중앙 중점 측광, 원본 리사이즈>
<부분 측광, 원본 리사이즈>
4. 연사 & 포커스
20D는 본체 상단의 포커스 설정 버튼으로 초점 잡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20D에서 제공하는 포커스 방식은 원
샷AF, AI 포커스, AI Servo, 세가지입니다. 원 샷 AF는 한 번 반셔터로 초점을 잡으면 초점이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피사체의
구도를 잡기에 용이합니다. AI Servo는 캐논에서 개발한 예측 포커스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설정하면 카메라에서 움직이는 피사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초점을 잡습니다. 따라서, 운동경기나 동물 사진 등에 매우 유용합니다. AI 포커스 모드는 평소에는 원 샷 AF로 촬영하다가 움직이는
피사체를 포착하면 AI Servo로 변환되는 모드입니다.
<AI Servo 모드>
오른쪽 예제는 AI Servo와 원 샷 AF모드로 설정한 후 움직이는 장난감 기차를 따라가며 촬영한 사진을 GIF로 연결한
애니메이션입니다. 장난감 기차에 전체적으로 초점이 잡힌 AI Servo 모드에 비해 초점을 고정시킨 원 샷 모드는 기차가 멀어질수록 초점에서
멋어나 흐릿하게 촬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D는 초당 5매를 연속촬영하는 속도로 최대 해상도에서 최고 23매까지 촬영 가능합니다.
10D 연속촬영 성능이 초당 약 3프레임에 최대 9장이었던 것에 비해 괄목 상대할 만한 업그레이드입니다.
<원 샷 AF 모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