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수능, 전국 2342개 고교별 분석
수능성적 상위 50위 중 일반高는 5곳
3곳 중 2곳꼴로 '일반高 수준'
지방 自私高는 성적 좋아져
용인外高, 처음으로 전국 1위
성적 위주로 뽑은 지방自私高, 수능 성적 5배 오른
곳도
특목고·일반고 학력差 여전… 1·2등급 비율, 2배 넘게 차이
올해 첫 졸업생을
배출한 서울 지역 자율형사립고(자사고) 14곳 중 9곳은 2013학년도 수능 1·2등급을 받은 학생의 비율이 전교생의 20%가 채 안 됐다.
서울의 일반고 197개교의 평균(14%)과 큰 차이가 없었다는 뜻이다. 심지어 자사고 2곳은 수능 1·2등급을 받은 학생의 비율이 일반고
평균보다도 낮았다.
수능은 전체 응시생을 성적순으로 1~9등급으로 나눈다. 1등급(상위 4%)과 2등급(상위 7%)을 합하면 상위 11%에 드는 학생들이다. 따라서 수능 1·2등급은 해당 학교에 상위권 학생이 얼마나 많은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본지가 국회 새누리당 서상기 의원실과 함께 '2013학년도 수능 고교별 성적 자료'를 입수해 수능 3개 영역(언어·수리·외국어)의 평균 성적이 1·2등급인 학생 비율을 분석한 결과, 서울에 있는 자사고는 일반고 시절보다도 성적이 크게 올랐다고 보기 어려웠다. 다만 중동고(26.2→37.7%) 한양대사대부고(9.4→19.8%) 세화고(25.9→35.1%) 정도가 10~11%포인트 가량 올랐다.
자사고는 이명박 정부 시절이던 2010년에 수월성(秀越性) 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도입했다. 전국에 총 49개 자사고가 있고, 이 중 25곳이 서울에 있다. 전국 자사고 중 20곳이 올해 처음 수능 성적을 내놓았다.
자사고는 도입 초기에 수월성(秀越性) 교육을 내세웠는데, 정작 첫 성적표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한 입시 전문가는 "지난 정부에서 자사고가 한꺼번에 많이 지정됐지만 일반고일 때와 차별화된 수업을 진행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전국의 자사고 중 하나고(68.3%), 안산 동산고(47.6%), 북일고(38.5%), 중동고(37.7%) 순으로 수능 1·2등급 비율이 높았다. 분석 대상인 전국의 2342개 고교 중에 수능 1·2등급 비율이 높은 상위 50개 고등학교를 따져보니 37개가 외고·과학고·국제고 등 특목고였다. 나머지는 영재학교 2곳, 자율형사립고 6곳, 일반고 5곳이었다. 일반고 중에는 공주 한일고(1·2등급 비율 75.2%)가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충남 공주사대부고(63.8%), 경기 광명 진성고(49.6%), 경남 거창고(49.2%), 경기 양평 양서고(47.5%) 순서로 상위권 비율이 높았다.
◇지방 자사고는 상위권 상승
2013학년도 수능에서 서울의 자사고들은 일반고 시절보다 수능 성적이 그리 많이 오르지 않은 반면, 지방의 자사고들은 일반고일 때보다 성적이 좋아진 곳이 많았다. 서울의 자사고는 중학교 내신이 상위 50% 이내에 드는 학생을 대상으로 추첨하는 반면, 지방 자사고는 내신, 서류, 면접 등으로 학생을 선발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부산 동래여고는 일반고 시절 졸업생을 낸 2012학년도 수능에서는 1·2등급 비율이 17.3%였는데, 올해는 31.2%로 올랐다. 동래여고는 중학교 내신 성적으로 2배수를 선정한 뒤 추첨한다. 또 내신·서류·면접을 통해 학생을 선발하는 대구 계성고는 수능 1·2등급 비율이 5.5%에서 27.7%로 껑충 뛰었다.
◇1위 자리 바뀌었다
2013학년도 고교별 수능 성적에서 경기도 용인외고가 상위권(1·2등급) 학생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교별 수능 성적이 처음으로 공개된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수능 1·2등급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학교는 서울의 대원외고였다. 올해 처음으로 1위 자리가 바뀐 것이다.
용인외고 학생 중 수능 3개 영역(언어·수리·외국어) 평균이 1등급인 학생은 전체의 67.2%, 2등급인 학생은 22.9%였다. 용인외고 출신 10명 중 9명(90.1%)이 수능 1·2등급을 받은 것이다. 이어 대원외고(88.3%), 민족사관고(82.2%), 상산고(81.8%), 한영외고(81.2%), 김해외고(81.1%), 대구외고(80.0%) 순서로 1·2등급 학생이 많았다. 외고·과학고·국제고 등 특목고들은 올해도 수능 성적에서 상위권을 휩쓸었다. 수능 1·2등급 비율을 기준으로 할 때 전국의 상위 30위 중 24곳이 특목고였고, 그중에서도 외고가 20곳으로 가장 많았다.
◇특목·일반고 학력 격차 여전
특목고·자사고와 일반고의 학력 격차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여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2013학년도 수능에서 특목고·자사고 상위 50개교의 수능 1·2등급 비율은 평균 68.4%였다. 반면 일반고 상위 50개교의 1·2등급 비율은 평균 32.1%였다.
서상기 국회의원은 "일반고 학생들의 학력이 올라갈 수 있도록 정책적인 지원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수능은 전체 응시생을 성적순으로 1~9등급으로 나눈다. 1등급(상위 4%)과 2등급(상위 7%)을 합하면 상위 11%에 드는 학생들이다. 따라서 수능 1·2등급은 해당 학교에 상위권 학생이 얼마나 많은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본지가 국회 새누리당 서상기 의원실과 함께 '2013학년도 수능 고교별 성적 자료'를 입수해 수능 3개 영역(언어·수리·외국어)의 평균 성적이 1·2등급인 학생 비율을 분석한 결과, 서울에 있는 자사고는 일반고 시절보다도 성적이 크게 올랐다고 보기 어려웠다. 다만 중동고(26.2→37.7%) 한양대사대부고(9.4→19.8%) 세화고(25.9→35.1%) 정도가 10~11%포인트 가량 올랐다.
자사고는 이명박 정부 시절이던 2010년에 수월성(秀越性) 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도입했다. 전국에 총 49개 자사고가 있고, 이 중 25곳이 서울에 있다. 전국 자사고 중 20곳이 올해 처음 수능 성적을 내놓았다.
자사고는 도입 초기에 수월성(秀越性) 교육을 내세웠는데, 정작 첫 성적표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한 입시 전문가는 "지난 정부에서 자사고가 한꺼번에 많이 지정됐지만 일반고일 때와 차별화된 수업을 진행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전국의 자사고 중 하나고(68.3%), 안산 동산고(47.6%), 북일고(38.5%), 중동고(37.7%) 순으로 수능 1·2등급 비율이 높았다. 분석 대상인 전국의 2342개 고교 중에 수능 1·2등급 비율이 높은 상위 50개 고등학교를 따져보니 37개가 외고·과학고·국제고 등 특목고였다. 나머지는 영재학교 2곳, 자율형사립고 6곳, 일반고 5곳이었다. 일반고 중에는 공주 한일고(1·2등급 비율 75.2%)가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충남 공주사대부고(63.8%), 경기 광명 진성고(49.6%), 경남 거창고(49.2%), 경기 양평 양서고(47.5%) 순서로 상위권 비율이 높았다.
◇지방 자사고는 상위권 상승
2013학년도 수능에서 서울의 자사고들은 일반고 시절보다 수능 성적이 그리 많이 오르지 않은 반면, 지방의 자사고들은 일반고일 때보다 성적이 좋아진 곳이 많았다. 서울의 자사고는 중학교 내신이 상위 50% 이내에 드는 학생을 대상으로 추첨하는 반면, 지방 자사고는 내신, 서류, 면접 등으로 학생을 선발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부산 동래여고는 일반고 시절 졸업생을 낸 2012학년도 수능에서는 1·2등급 비율이 17.3%였는데, 올해는 31.2%로 올랐다. 동래여고는 중학교 내신 성적으로 2배수를 선정한 뒤 추첨한다. 또 내신·서류·면접을 통해 학생을 선발하는 대구 계성고는 수능 1·2등급 비율이 5.5%에서 27.7%로 껑충 뛰었다.
◇1위 자리 바뀌었다
2013학년도 고교별 수능 성적에서 경기도 용인외고가 상위권(1·2등급) 학생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교별 수능 성적이 처음으로 공개된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수능 1·2등급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학교는 서울의 대원외고였다. 올해 처음으로 1위 자리가 바뀐 것이다.
용인외고 학생 중 수능 3개 영역(언어·수리·외국어) 평균이 1등급인 학생은 전체의 67.2%, 2등급인 학생은 22.9%였다. 용인외고 출신 10명 중 9명(90.1%)이 수능 1·2등급을 받은 것이다. 이어 대원외고(88.3%), 민족사관고(82.2%), 상산고(81.8%), 한영외고(81.2%), 김해외고(81.1%), 대구외고(80.0%) 순서로 1·2등급 학생이 많았다. 외고·과학고·국제고 등 특목고들은 올해도 수능 성적에서 상위권을 휩쓸었다. 수능 1·2등급 비율을 기준으로 할 때 전국의 상위 30위 중 24곳이 특목고였고, 그중에서도 외고가 20곳으로 가장 많았다.
◇특목·일반고 학력 격차 여전
특목고·자사고와 일반고의 학력 격차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여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2013학년도 수능에서 특목고·자사고 상위 50개교의 수능 1·2등급 비율은 평균 68.4%였다. 반면 일반고 상위 50개교의 1·2등급 비율은 평균 32.1%였다.
서상기 국회의원은 "일반고 학생들의 학력이 올라갈 수 있도록 정책적인 지원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선일보 2013-06-20 기사
'대입시제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0년도에 발표된 내용으로 아이들 공부도 해야 될 듯. (0) | 2014.08.18 |
---|---|
2017수능 문·이과 구분 폐지 검토…한국사 필수 (0) | 2013.08.27 |
2014학년도 대학입학전형 기본 일정 (0) | 2013.02.04 |
2014 대입성공 전략 - 내신보다 수능성적이 중요 (0) | 2013.01.23 |
2011년도 대학별 취업률 (0) | 2012.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