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 독립혼의 파생지 일송정 우리 모두가 잘 알고 있는 ‘선구자(당시의 제목은 ’용정의 거리‘)’ 노랫말에 나오는 일송정, 혜란강, 용두레 우물, 용문교 등이 모두 용정시 소재지 안에 있으며 선구자 노래는 윤해영작사 조두남 작곡이며 연변조선족 자치주 내의 한인들에게 가장 잘 알려진 것이 백두산과 용정의 일송정이라 하.. 고구려와 백제의 흔적 2006.07.07
용정 지명 기원지정천 용정시에 있는 이 샘은 용정시의 이름이 붙게 된 기원이 되는 곳으로 이 샘으로 말미암아 이곳에 마을이 들어서게 되었다고 한다.지금은 그 자리에 용정지명기원지정천((龍井地名起源之井泉,룽징띠밍치왠즈징쵄)이라고 쓰인 비석이 세워져있다.그곳에 작은 공원을 조성해 놓았는데 입장료를 .. 고구려와 백제의 흔적 2006.07.07
대성중학교를 찾아 용정에 있는 대성중학교는 조선족이 세운 학교이다. 지금은 박물관과 기념품 판매장으로 사용하고 학교는 용정중학교라고 이름을 바꾸고 건물 왼편에 새로 지어져 조선족 학생들이 2,000여 명이 다니고 있다. 문익환선생과 윤동주 시인을 비롯한 숱한 인물들이 배출되었던 용정의 대성중학교도 이제.. 고구려와 백제의 흔적 2006.07.07
고구려와 백제의 흔적을 찾아 [1] 고구려와 백제의 흔적을 찾아.. 6월 26일에서 7월 5일까지(9박 10일) .. 박윤상 선생님이 두산 연강재단에서 실시한 제17회 교사해외학술시찰단의 일원이 되어 중국과 일본에 산재해 있는 우리의 옛 고구려와 백제 문화 유적지를 탐방하고 오셨다. 역사의 현장에 다녀오신 선생님을 통해 더욱 생생한 국사.. 고구려와 백제의 흔적 2006.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