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

하로서원

보리숭이 2016. 4. 9. 20:00


하로서원(賀老書院)

경내의 건물로는 청백사(淸白祠)·노촌당(老村堂)·동재·서재·비각 등이 동서로 병렬형식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비각안에 비석 1기가 세워져 있다.서원은 강학 공간과 제향 공간이 일자(一字)로 배치된 형태이다. 강학 공간은 강당, 동재, 서재 3채로 구성되어 있다. 강당은 노수당, 동재는 염수당, 서재는 필유당이라고 이름 지었다. 현판 이름은 문중에서 합의해 결정했다고 한다. 노수당에는 ‘노촌당’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노촌당은 1977년에 중수하였다.

그것을 기념하는 노촌당 보수비가 노수당 오른쪽에 서 있다. 노수당은 1981년에 중수하였다. 그것을 기념하는 노수당 보수비가 노촌당 보수비 옆에 서 있다. 제향 공간은 사당, 외문, 내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당은 청백사, 내문은 숙경문, 외문은 영은[사]문이라 이름 지었다. 강학 공간에서 사당으로 연결되는 문의 이름은 여재문이다.

 

양촌동 마을 어귀[풍수적으로 청룡 끝자락에 위치]에는 이약동 신도비, 산천단 유적비, 벽진 이씨 서거지허비, 이약동 아버지의 유허비가 서 있다.

이약동 신도비는 이약동 묘소 앞에 있었으나 관리가 어려워 마을 어귀로 옮겨와 현재에 이르고 있다. 산천당 유적비는 2009년 제주도민 정두정·홍순녕·김진수 등에 의해 이약동을 기리기 위해 세워졌다. 그 건너편에는 사모바위가 자리 잡고 있다.

 

이약동(李約東, 1416~1493)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춘보(春甫), 호는 노촌(老村). 희목(希牧)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존실(存實)이고, 아버지는 증 호조판서 덕손(德孫)이며, 어머니는 유무(柳務)의 딸이다. 김종직(金宗直)·조위(曺偉) 등과 교분이 깊었다.

1441년(세종 23) 진사시에 합격하고, 1451년(문종 1) 증광 문과(增廣文科)에 급제한 뒤 사섬시직장(司贍寺直長)을 거쳐 1454년(단종 2) 감찰·황간현감 등을 역임하였다. 1458년(세조 4) 지평(持平)이 되고, 이듬 해 사직했다가 1464년 선전관으로 복직하였다. 1466년 종부시정(宗簿寺正)이 되고 구성부사 등을 역임하다가 1468년 병으로 사직하였다.

1470년(성종 1) 제주목사 때 관아 이속들의 부정과 민폐를 단속, 근절시키고 공물의 수량을 감해 백성의 부담을 더는 등 선정을 베풀어 칭송을 받았다. 또한, 임기를 마치고 돌아올 때 모르고 들고 온 관물(官物)인 말채찍을 성루 위에 걸어놓고 왔으며, 항해 중 배가 파선의 위기에 놓이자 하늘을 속인 노여움이라 단정하고 배 안을 살펴 부하들이 몰래 넣어둔 갑옷을 찾아내 강물에 던진 투갑연(投甲淵)의 일화는 유명하다.

1474년 경상좌도수군절도사를 거쳐 1477년 대사헌이 되어 천추사(千秋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이듬 해 경주부윤이 되었으며, 호조참판·전라도관찰사를 지냈다. 1487년 한성부좌윤·이조참판 등을 거쳐, 1489년 개성부유수 등을 역임하다가 1491년에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로 치사(致仕 : 나이가 많아 벼슬에서 물러남. (일종의 정년퇴임임)

금산의 경렴서원(景濂書院), 제주도 귤림서원(橘林書院)에 제향되었다. 성종 때 청백리로 뽑히고 기영록(耆英錄)에 올랐으며, 저서로는 ≪노촌실기≫가 있다. 시호는 평정(平靖)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