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설동창

송설59회 변수용동문 - 펜실베니아 주립대학 교수 임용

보리숭이 2012. 4. 19. 13:21

송설59회 변수용동문(고려대 졸)이 펜실베니아 주립대학 (Pensilvenia State University)에 교수로 임용되었다.

변수용교수의 3학년 때 담임은 정학영선생님이다.

변수용교수가 미시간주립대학교 박사 후 과정에 있을 때 유네스코통계연구소(UIS) 인턴 체험기가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사이트에 칼럼으로 나와 있어 소개한다.

-----------------------

세계 통계 데이터의 저장고
국제 데이터 활용에 관심 있다면 ‘강추’
 


변수용(미시간주립대학교 박사 후 과정 연수생)

 

필자는 2006년 6월부터 8월까지 약 3개월 간 유네스코통계연구소(UIS)에서 인턴으로 근무한 바 있다. 

 

유네스코 통계 역량 강화를 위해 1999년 7월에 설립된 UIS는 캐나다 몬트리올 대학교에 사무실이 있다. UIS는 유네스코 회원국들을 비롯해 국제사회에서 자국의 정책결정 및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에 도움이 되는 교육·과학·문화·커뮤니케이션 영역의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분석·보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현재 UIS가 수행하고 있는 주요 사업으로는 유네스코 회원국들의 통계적 분석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사업(Statistical Capacity Building, 이하 ‘통계적 분석 역량 강화 지원 사업’), 유네스코 핵심 사업인 ‘새천년개발목표(MDGs)’ 및 ‘모두를 위한 교육(EFA)'의 진행성과를 평가하는 지표개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공동으로 진행 중인 세계교육지표(WEF) 개발 등이 있다.

UIS가 제공하는 인턴십 프로그램은 필자의 미네소타주립대학교 박사과정 지도교수였던 데이비드 채프먼 교수를 통해 ‘비공식적인’ 통로로 알게 되었다. 국제교육개발과 관련해 저명한 학자로서 유네스코와 같은 국제기구에서 지원하는 저개발국 국제교육개발 프로그램에 많이 관여했던 채프먼 교수는 2006년 초, 국제교육 데이터 분석에 관심이 있는 학생을 추천해달라는 UIS 측의 요청에 평소 유네스코 국제교육사업과 국제교육 데이터 분석에 관심을 보였던 필자를 추천해 주었다. 간략한 자기 소개서 및 이력서를 제출한 필자는 같은 해 3월, 미국 하와이에서 열린 비교국제교육학회(CIES)에서 UIS 인턴 담당자와의 면접을 통해 최종 선발되었다. 

 

UIS 인턴으로서 필자에게 주어진 업무는 아랍 국가를 대상으로 시행하는 UIS 워크숍 준비 지원이었다. 앞서 언급한 통계적 분석 역량 강화 지원 사업의 일환인 이 워크숍에서는 국제교육성취도평가협회(IEA)가 주관하는 2003년도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연구(TIMSS)’ 자료를 이용, 아랍 국가 내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및 학생들의 수학·과학 학업성취도 간 연관성, 학교자원 및 가정배경 간 또는 학업성취 간 관계를 분석했다. 평소 국제학업성취도 데이터를 사용한 국가 간 비교에 관심이 많았던 필자에게는 매우 흥미로운 것이었다. 

 

비록 짧은 기간이었지만 인턴십을 통해 필자는 UIS가 제공하는 풍부한 국제교육관련 데이터를 접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높은 데이터 수집을 위한 국제기구차원의 노력을 이해할 수 있는 귀중한 기회를 얻었다. 여기에 필자가 박사학위 후 국제교육 관련 프로젝트(IEA의 TEDS-M(Teacher Education and Development Study in Mathematics)으로, 세계 17개국 수학미래교사들(교육대, 사범대 학생)을 대상으로 한 예비교사양성 정책 및 과정 등에 관한 비교국제연구이다)에 참여하는 데 있어서도 인턴 경험은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따라서 국제교육데이터를 활용한 연구에 관심 있는 이들에게 UIS 인턴십 프로그램을 적극 추천한다. 

 

UIS 인턴 자격 요건은 유네스코가 규정하고 있는 인턴십 프로그램 규약을 따른다. 인턴을 하기 위해서는 학력과 언어적·기술적 능력 면에서 인턴십을 수행할 수 있는 기본적인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영어 또는 불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교육관련 프로그램 석사 또는 박사 과정에 있는 학생으로, SPSS나 HLM와 같은 통계 프로그램을 다룰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UIS 인턴십 프로그램은 현재까지 공식화되지 않아 인턴십 프로그램 지원 시기 및 절차가 명확하게 공고되지 않는다. 여전히 비공식적인 경로를 통해 선발되는 것으로 알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면을 통해 UIS 인턴십 프로그램과 관련된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필자의 인턴십 면접을 담당했던 UIS 인턴 담당자(Dr. Yanhong Zhang/ 이메일: y.zhang@uis.unesco.org)에게 문의하면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참고 웹사이트
- UIS 관련: http://www.uis.unesco.org
- CIES 관련: http://www.cies.us/
- TEDS-M 관련: http://teds.educ.msu.edu/
- 유네스코 본부 및 산하 연구기관 내 인턴십 프로그램 관련: http://www.unesco.org/employment

 

필자 소개
고려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교육사회학 석사 학위를, 미네소타대학교 대학원에서 비교국제교육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미시간주립대학교에서 교육학 분야 박사 후 과정 연수생(Post-doctoral fellow)으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로는 TIMSS, ‘국제 학업성취도 비교평가(PISA)' 등 국제학업성취도 데이터를 이용한 국제비교연구, 문화자본, 사회자본, 교육계층화 등이 있다.